top of page
검색
작성자 사진kodeco 한국남방개발

산림 선진국으로 가는 길… 해외자원개발이 답이다


산림청은 동북아지역 산림분야 협력강화를 위해 2007년부터 황폐지 복구, 황사피해 저감 및 사막화방지를 위한 사업을 전개하고 있다. 또 황사방지대책의 하나로 중국, 몽골 등 황사발원지 및 사막화 지역에서 조림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사진은 동북아 쿠부치사막. 사진=산림청 제공 [대전·충청=이데일리 박진환 기자] 대한민국이 산림강국으로 주목받고 있다. 일제 강점기와 6·25 한국전쟁 등을 거치면서 철저하게 황폐해진 국토를 불과 40여년 만에 선진국 수준으로 녹화사업을 성공시킨 때문이다. 한국의 산림률은 2010년 기준으로 63%로 OECD 가입국가 중 핀란드(72.9%)와 스웨덴(68.7%), 일본(68.5%)에 이어 세계 네번째로 높다. 산림청은 국내 산림녹화에 안주하지 않고 해외 산림자원개발을 확대해 산림자원을 안정적으로 확보하고 신기후체제에 선제적으로 대응한다는 방침이다. 19060년대 단순 벌채에서 전 세계 14개국에 40여만㏊ 조림 한국의 해외산림자원개발은 1968년 한국남방개발㈜의 인도네시아 진출로 시작됐다. 그러나 당시에는 인도네시아산 목재의 단순 벌채에 그쳤고, 목재자원의 장기·안정적 공급원의 확보 필요성에 따라 정부 지원아래 시작된 해외조림사업은 1993년부터 시작했다. 한솔홈데코㈜는 1993년 호주 콜리지역에서 508㏊ 규모로 조림사업을 시작했고, 이후 매년 사업규모를 확대해 2003년까지 이 일대에 1만 6000㏊를 조림했다. 한솔홈데코㈜1996년부터는 뉴질랜드까지 진출해 9000㏊를 조림하는 등 현재까지 2만 5000㏊를 조림했지만 장기 투자에 따른 사업지 관리 등의 어려움으로 2004년도부터는 신규 조림을 중단하고, 기존 조림지의 육림사업 등에 치중하고 있다. 세양코스모㈜도 1994년 베트남에 진출해 현재까지 1만 5000㏊를 조림했으며, 2000년부터 해외 조림목을 펄프용 칩으로 가공·생산해 전량을 국내에 반입하고 있다. 또 산림조합중앙회와 이건산업㈜, 동해펄프㈜, ㈜성원 등의 민간 기업들을 중심으로 인도네시아와 솔로몬, 중국, 남미 파라과이, 칠레 등에 진출해 자체 조림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해외조림에 의한 벌채 조림목의 국내반입을 살펴보면 베트남에 진출한 세양코스모가 2000년 조림목을 현지에서 펄프용 칩으로 가공·반입한 것이 처음이다. 2004년도에는 호주의 한솔홈데코와 중국에 진출한 동해펄프에서도 해외조림목(펄프용 칩) 반입을 본격적으로 시작하다가 2006년부터는 중국, 베트남에서의 신규 조림면적 감소와 운송비용의 증가에 따라 국내반입량이 감소하고 있는 추세다. 해외산림자원개발은 목재자원의 장기·안정적 확보 차원에서 지속적으로 추진 중이며, 1993년부터 지난해까지 전 세계 14개국에 34개 기업이 진출, 모두 39만 9000㏊를 조림했다. 정부의 정책자금 융자 사업은 1993년부터 2007년까지 용재수 조림 위주에서 2008년부터는 팜유나무, 2010년 고무나무, 탄소배출권 조림 및 가공시설사업 등으로 지원대상이 확대되고 있다.해외산림자원개발은 목재자원의 장기·안정적 확보 차원에서 지속적으로 추진 중이며, 1993년부터 지난해까지 전 세계 14개국에 34개 기업이 진출, 모두 39만 9000㏊를 조림했다. 사진은 인도네시아 중부 칼리만탄 빵갈란분 코린도 조림사업지. 사진=산림청 제공


산림청 전 세계에 녹화경험 ·정책 전수 우리나라에서 1970년대 시작된 산림녹화사업의 성공 신화는 전 세계적으로 드문 성공 사례다. 2000년대에 접어들면서 환경문제가 이슈화됐고, 아시아권은 물론 아프리카 등지에서도 산림복원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한국의 녹화 성공 비결을 배우려는 국가들이 점차 늘고 있다. 산림청은 AFoCO 아시아산림협력기구(Asian Forest Cooperation Organization)의 확대 설립으로 우리의 산림녹화 경험을 개발도상국과 공유하고, 기후변화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고 있다. 특히 한-아세안 산림협력협정의 성실한 이행을 토대로 선진국과 개도국 간 가교역할과 함께 우리기업의 해외진출 기회를 확대하는 계기를 마련했다는 평이다. 이를 위해 2014년 12월 부산에서 열린 한-아세안 특별정상회의 및 특별산림장관회의를 통해 각국 정상 등의 아시아산림협력기구(AFoCO) 확대 설립 지지를 확인했다.또 중앙아시아 국가들과의 산림정책 공유도 확대 중이다. 산림청은 2013년 10월 다자 최초의 한-중앙아시아 5개국 산림협력 MOU를 체결, 중앙아시아 개도국과 교류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했으며, 외교채널과 다자협의로 AFoCO 설립 협정문 채택 및 조약체결을 추진했다. 지난해 6월 현재 우리나라가 산림분야 양자 협력관계를 맺고 있는 나라는 아시아, 오세아니아, 유럽, 중남미, 아프리카 등 모두 30개국이다. 협력 분야로는 해외산림자원개발, 개도국의 황폐지 복구, 생물다양성, 산불 등으로 다양하다. 처음 양자 협력관계를 구축한 인도네시아의 경우 1979년 제1차 산림협력위원회를 시작으로 2년마다 산림협력회의를 번갈아 개최하고 있으며, 협력의 범위를 민간까지 확대한 산림포럼을 매년 개최하고 있다. 구체적 협력 사업으로 임목개량 및 양묘장 조성사업과 쓰나미 피해지역 맹그로브 숲 조성사업을 수행했다. 현재는 REDD+ 시범 프로젝트 등 기후변화 대응과 산림휴양 사업을 추진 중이다. 인도네시아에는 우리나라 해외조림기업의 45%(14개 기업)가 진출해 해외산림투자를 진행하고 있다. 두번째로 양자협력사업이 활발히 이뤄지는 곳은 캄보디아와 라오스, 베트남, 미얀마 등 메콩강 유역 국가들이다. 해외산림투자의 경우 35%(11개 기업)의 해외조림기업이 진출해 있다.산림청은 개도국의 황폐지 복구와 자생식물 조사 및 수집, 기후변화대응, 사막화 및 황사방지 등 다양한 양자협력 사업을 펼치고 있는데, 최근에는 산림복지 분야에서도 정부 간 협력 요청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다. 2013년 한국은 인도네시아와 산림휴양 및 생태관광 분야 MOU 체결한 데 이어 지난해 3월 중국과 산림복지 분야 협력을, 같은해 5월에는 도미니카공화국 대통령 예방과 함께 산림협력 MOU를 체결했다.한국의 산림복지 경험 공유에 대한 협력요청도 이어지고 있다. 중국의 경우 최근 ‘생태문명’이 중요한 국가시책 방향으로 강조되면서 산림자원에 대한 생태, 문화적 접근 및 보전 등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는 상황이다.산림선진국인 일본, 캐나다 및 오스트리아와 양자협력 관계를 구축하고, 인적교류 및 선진기술 도입을 통해 산림분야 글로벌 리더십 강화에 힘쓰고 있다. 임하수 산림청 해외자원개발담당관은 “앞으로 개도국과는 국가특성에 맞는 맞춤형 산림기술 지원으로 사업을 내실화하고, 산림 선진국과는 산림경영에 대한 경험 공유와 관련기술 접목을 통해 우리나라 산림을 더 효율적으로 관리해 나갈 수 있도록 지속적인 협력을 추진해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조회수 60회댓글 0개

최근 게시물

전체 보기

Comments


bottom of page